(참고 http://www.turby.net/42)
모니터링
1. CPU
2. Memory
3. Disk I/O
4. Network
# top
: CPU 점유 프로세스들을 실시간으로 조회
(1) 첫번쨰 줄 : 시스템의 전반적 상태. 가동시간, 평균사용량 등
(2) 두번째 줄 : 프로세스들의 상황
(3) 세번째 줄 : CPU 상황
(4) 네번째 줄 : Memory 상황
(5) 다섯번째 줄 : swap 메모리 상황
(6) ~ :
PID  | 
USER  | 
PR  | 
NI  | 
VIRT  | 
SHR  | 
%CPU  | 
%MEM  | 
TIME+  | 
COMMAND  | 
프로세스 ID  | 
사용자  | 
priority  | 
NICE 값  | 
가상메모리 사용량 (SWAP+RES)  | 
분할된 페이지,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된 메모리를 나눈 메모리의 총합  | 
CPU 사용률  | 
메모리 사용률  | 
CPU TIME  | 
실행된 명령어  | 
: 옵션
키  | 
설명  | 
t  | 
요약 정보 표시  | 
m  | 
메모리 정보 표시  | 
A  | 
시스템 자원을 많이 소모하는 프로세스 정렬  | 
f  | 
top의 설정화면 표시  | 
o  | 
정렬 순서 정하기  | 
r  | 
renice 명령어 실행  | 
k  | 
kill 명령어 실행  | 
z  | 
color/mono를 전환  | 
# htop
: top보다 사용자 위주의 모니터링 도구
$ apt-get -y install htop
$ htop
# vmstat
: 시스템 작업, 하드웨어 및 시스템 정보. 시스템의 리소스 상황(cpu, I/O, memory) 모니터링
procs  | 
memory  | 
swap  | 
io  | 
system  | 
cpu  | 
  | 
||||||||||
r  | 
b  | 
swpd  | 
free  | 
buff  | 
chache  | 
si  | 
so  | 
bi  | 
bo  | 
in  | 
cs  | 
us  | 
sy  | 
id  | 
wa  | 
st  | 
실행중인 프로세스 수(cpu 접근 대기 중인 프로세스 포함)  | 인터럽트가 불가능한 sleep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의 수 | 사용하고 있는 swap 메모리 양  | 사용가능한 양 | 버퍼로 사용되고있는 메모리량  | 캐시로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양 | swap in (디스크로 스왑되어 나간 메모리 용량)  | swap out(디스크로 스왑되어 나간 메모리 용량)  | 블럭디바이스로 보내는 초당 블럭 수  | 블럭디바이스에서 나오는 초당 블럭 수  |  초당 인터럽트되는 양  | 초당 context switch되는 양  | process가 cpu를 사용하는 사용하는 시간 - 유저프로세스  | process가 cpu를 사용하는 사용하는 시간 - 시스템프로세스  | CPU idle한  | 입출력대기 | |
$ vmstat
$ vmstat 3
$ vmstat 3 2
$ vmstat -m
$ vmstat -a
# iostat
: 평균 CPU 부하 및 디스크 활동
$ apt-get install -y sysstat
$ iostat
# free
# w -
: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와 프로세스 출력
# ps
'System > Linux OS 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리눅스 커널 커밋(commit)하기 - ing (0) | 2015.12.23 | 
|---|---|
| Linux LVM (0) | 2015.08.12 | 
| [ubuntu] 디스크 늘리기(ESXi기반의 VM) (0) | 2015.04.21 | 
| [Linux]라우팅 테이블 (0) | 2015.04.21 | 
| [Linux] TUN/TAP (0) | 2015.04.21 |